왜 우리는 브레히트를 다시 읽어야 하는가: 연극과 인간의 사회적 자각

베르톨트 브레히트는 연극을 단순한 오락이 아닌 사회적 자각의 도구로 삼았습니다. 그는 관객이 연극에 몰입하기보다는 스스로 사고하고 비판하게 만들고자 했습니다. 오늘날 복잡한 사회 속에서 인간이 현실을 직시하고 각성하기 위한 도구로 브레히트의 연극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그의 사상과 연극 기법은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를 다시 바라보게 만들며, 연극을 통해 사회를 성찰하게 합니다. 1. 브레히트 연극의 핵심 개념: 소외효과와 관객의 각성 브레히트 연극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바로 '소외효과(Verfremdungseffekt)'입니다. 그는 관객이 무대 위 이야기 속에 빠져 감정적으로 몰입하는 것을 경계했습니다. 대신 관객이 이야기에서 한 발짝 떨어져 비판적으로 바라보게 하려 했습니다. 이를 위해 그는 배우들이 감정을 과장하거나 장면 중간에 내레이터가 등장해 맥락을 해설하게 했고, 무대장치나 조명을 의도적으로 노출시켜 연극이 ‘꾸며진 것’임을 강조했습니다. 관객은 극의 전개에 휘둘리는 대신, 스스로 생각하며 현실을 성찰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단순한 연극적 기법을 넘어선 철학적 전략입니다. 브레히트는 연극을 통해 사회 시스템의 부조리를 폭로하고, 관객이 그것을 인식하게 하여 변화를 촉구하려 했습니다. 그의 연극은 관객을 수동적인 소비자가 아닌 능동적인 참여자로 전환시키며, 이를 통해 ‘사회적 각성’을 유도하는 도구가 됩니다. 연극은 현실을 복제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을 비판적으로 해석할 수 있게 만드는 매개체인 셈입니다. 그는 배우들에게조차 감정에 완전히 몰입하는 것을 피하라고 요구했습니다. 인물에 ‘들어가는’ 연기가 아닌, 인물을 ‘표현하는’ 연기를 하게 함으로써 관객도 인물에 이입하지 않도록 유도했습니다. 이런 연출 방식은 당시로서는 매우 파격적이었고, 지금도 여전히 혁신적인 실험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브레히트의 연극은 관객의 감정을 자극하기보다 그들의 이성과 사고를 자극하는 장르로 자리잡았습니다. 2. 인간과 사회의 ...

셰익스피어의 『햄릿』에서 인간 실존의 고민 분석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햄릿』은 단순한 복수극이 아니라 인간 실존의 문제를 깊이 탐구하는 작품이다. 햄릿이 겪는 갈등은 단순한 감정적 고민이 아니라, 존재와 비존재, 자유와 운명, 선택과 책임 사이에서 실존적 결정을 내려야 하는 인간의 숙명과도 같다. 이 글에서는 『햄릿』에서 드러나는 실존적 고민을 분석하고, 이를 철학적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한다.


1. "To be, or not to be" – 존재에 대한 근본적 질문

햄릿의 가장 유명한 대사인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은 실존적 고민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구절이다. 그는 삶과 죽음 사이에서 무엇이 옳은지 끊임없이 고민한다. 현실에서의 고통을 감내하며 살아야 하는가, 아니면 죽음을 통해 이 모든 갈등을 끝내야 하는가? 그러나 죽음이 과연 끝일 것인가? 햄릿은 사후 세계의 불확실성 앞에서 망설이며, 실존주의적 공포 속에서 선택의 무게를 실감한다. 이는 사르트르와 하이데거가 주장한 실존적 불안과 연결된다. 인간은 본질이 정해진 존재가 아니라 스스로 존재를 만들어가야 한다. 하지만 선택의 자유에는 책임이 따른다. 햄릿은 선택의 기로에 서 있지만, 그 책임을 감당하기 어려워하며 끝없는 망설임에 빠진다.


2. 자유와 운명 사이에서 – 실존적 선택의 어려움

햄릿은 아버지를 살해한 클로디어스를 복수해야 하는 운명을 짊어지고 있다. 그러나 그는 단순한 분노에 의한 복수를 택하지 않는다. 그는 인간의 도덕성과 윤리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한다. 살인은 신의 뜻에 어긋나는 것이며, 복수가 반드시 정의로운 행위인지 확신할 수 없다. 복수를 실행하는 순간, 그는 또 다른 살인자가 되며, 자신 역시 죽음과 죄책감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을 알고 있다. 이런 고민은 실존주의 철학에서 말하는 "행동의 자유와 도덕적 책임" 문제와 맞닿아 있다.

햄릿의 갈등은 인간이 자신의 존재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지만, 그 결과에 대한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 사르트르는 인간이 “자신의 선택에 의해 존재를 창조하는 존재”라고 보았고, 키르케고르는 “절망은 자유로운 선택의 결과”라고 말했다. 햄릿은 절망 속에서도 자신만의 결정을 내리려 하지만, 끝까지 완전한 선택을 하지 못한다.


3. 죽음과 실존적 불안

햄릿에게 죽음은 단순한 소멸이 아니라, 새로운 차원의 존재적 고민을 불러일으킨다. 그는 요릭의 두개골을 보며 인간의 덧없음을 깨닫고, 무덤을 파는 장면에서 삶의 무상함을 절감한다. “알렉산더 대왕도 결국 먼지가 되어 흙이 된다”는 깨달음은 인간이 얼마나 허무한 존재인지 상기시킨다. 하이데거는 인간이 죽음을 의식할 때 비로소 자신의 존재를 온전히 자각한다고 보았다. 햄릿이 죽음을 묵상하는 장면은 그의 실존적 불안을 여실히 보여준다.

그러나 햄릿은 죽음을 앞두고도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 행동한다. 그는 클로디어스를 향한 복수를 실행하면서, 비로소 자신의 존재를 완성하려 한다. 죽음을 두려워하면서도 필연적으로 맞이해야 하는 실존적 숙명 앞에서, 햄릿은 주어진 운명을 받아들이고 행동하는 인간으로 변화한다.


4. 결론: 햄릿은 실존주의적 인간인가?

햄릿은 실존적 불안과 갈등을 겪지만, 끝까지 자신의 선택을 확신하지 못하는 인물이다. 그는 행동과 망설임 사이에서 끊임없이 흔들리며, 실존적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존재로 남는다. 이는 실존주의 철학에서 말하는 인간의 본질적인 한계를 보여준다.

결국 햄릿은 실존주의적 인간이다. 그는 끊임없이 자기 자신을 탐구하며, 삶과 죽음, 자유와 운명, 선택과 책임 사이에서 방황한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실존을 끝까지 완성하지 못하고,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한다. 셰익스피어는 『햄릿』을 통해 인간이 스스로 자신의 존재를 창조해야 한다는 실존주의적 메시지를 던진다.

햄릿의 고민은 곧 우리 모두의 고민이다. 우리는 모두 각자의 “To be, or not to be” 순간을 살아가고 있으며, 실존적 선택의 무게를 감당하며 존재를 만들어가고 있다.